본문 바로가기

무료로 대중교통 이용: 모바일 티머니로 절약하는 방법과 꿀팁

by DooG00 2024. 8. 13.

 직장인들 대부분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며 출퇴근을 하고 있습니다. 모두는 아니라도 회사원들이나 자영업자들 주부들 학생들 모두 포함해서 정말로 대한민국 사람들이라면 한 번쯤은 이용해 보는 게 지하철과 버스인데 예전에 비해서 해마다 대중교통 비용이 물가 상승으로 더욱 올라가는 것을 뉴스에서 자주 목격하곤 합니다.

 

서울은 2023년 기준으로 지하철 요금은 1350원, 버스 요금은 1300원이고 간선 버스는 2200원이였지만 2024년 기준으로 는 지하철 요금 1450원, 버스 1350원, 간선 버스는 2300원으로 약 50원~100원 정도 비용이 올라간 것을 알 수 있습니다. 한 달에 직장을 다닌다고 한다면 약 2200~4400원 정도 비용이 더 들 수 있는 상황이고 적은 비용이라도 아껴야 한다는 생각으로 꿀팁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.

 

제가 알려드릴 앱은 모바일 티머니라는 앱을 알려드릴려고 합니다. 쉽고 간편하게 그리고 절약 방법까지 알려드립니다

 

 

 

 

1. 모바일 티머니 등록: 교통카드 들고 다닐 필요 없이 등록 후 사용가능

일단 처음으로 모바일 티머니 앱을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한 앱을 실행합니다.

 

 

  • 좌측 상단의 메뉴 클릭
  • 카테고리에 내카드관리에 클릭 후 카드관리 탭  선택
  • 등록하고 싶은 교통카드 준비 후 티머니카드 등록 클릭
  • 해당 교통카드를 휴대폰 중앙에 카드를 대주면 끝

등록 방법은 하단에 사진으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 해당 카드는 교통카드 외에 체크카드나 신용카드는 사용이 안됩니다. 

 

 

 

 

카드가 인식이 안되면 NFC 기능이 켜져있는지 확인하고 안되면 수동으로 카드등록은 직접입력 후 카드 번호를 입력해 주면 됩니다.

 

2. 모바일 기후동행카드 등록: 나라에서 지원해 주는 카드도 가능

 만 19세 이상부터 34세 이하 청년 안에서 나라에서 지원해 주는 대중교통 절약이 가능한 카드도 모바일 티머니에 등록이 가능합니다. 일부러 들고 다니다가 잃어버리거나 사용도중 훼손이 될 경우에 사용에 제한이 될 수 있지만 모바일 티머니에 등록을 하게 되면 오프라인 카드 발급 비용인 3000원 절약이 가능하니 모바일 티머니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절약할 수 있는 금액이 더 늘어날 수 있습니다.

 

등록하는 방법은 기존 티머니와 비슷하지만 다른 탭에 있습니다.

 

  • 중앙 교통카드 탭에 기후동행카드 확인
  • 기후동행카드 하단에 발급하기 선택
  • 원하는 카드 선택 후 비용청구

보통은 30일권으로 선택을 하고 따릉이를 포함하는지 안하는지에 따라 비용이 조금 달라질 수 있습니다. 청년이면 더욱 저렴하게 금액이 낮아지고 버스와 지하철만 이용할 경우 62000원이고 청년 할인이 있을 경우는 55000원으로 가격을 측정하고 있습니다.

 

 

3. 일반 카드에 마일리지 적립: 일반 교통카드 사용시 꿀팁

 기후동행카드는 수도권만 가능하기 때문에 경기도에서 출퇴근 하는 직장인과 학생에게는 사용이 힘들 수 있어서 일반 교통 카드를 사용하는 순간이 여러 있습니다. 마일리지를 활용하여 조금이라도 싸고 절약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.

 

  • 좌측 상단의 메뉴 클릭
  • 혜택탭으로 선택 후 이벤트 클릭
  • 스크롤 하단으로 내리면 모바일티머니 출석체크 클릭
  • 하루에 한번 클릭 (1~5 마일리지) 적립

 

 

하루 방문은 1마일리지를 적립하지만 5일 연속으로 출석체크를 한다면 5 마일리지를 적립해 줍니다. 마일리지는 교통카드에 충전으로 돈과 같이 대중교통에 사용 가능합니다. 가끔 중간에 마일리지를 모아 지하철이나 버스를 무료로 탈 수 있으니 모두 활용해 주시면 됩니다.

 

지금까지 모바일 티머니 앱에 대해서 알려드렸습니다. 물가 높아지고 월급은 계속 잘 오르지 않은 만큼 절약하고 아껴 쓰는 비용이 많아졌습니다. 대중교통이라도 절약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꿀팁을 많이 사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
댓글